개발자 되기/자격증

[정보처리기사] PYTHON 필기 기출 문제 해설

발전하는 개발자 2022. 4. 14. 19:20
728x90
반응형

1. 2020년 8월 22일, 75번 문제

입력값 : Hellow World, 출력값 : Helrld, ㉠에 들어갈 내용?

String = input("7문자 이상 문자열을 입력하시오 :")
m = ( ㉠ )
print(m)

답 : string[0:3] + string[-3:]

[슬라이싱]

-원하는 문자를 추출 [시작:끝:단계]

-시작 생략시 0부터, 끝 생략시 끝까지, 단계 생략시 1씩 증가

-슬라이싱에서 문자열 순서를 정할 때 0부터 시작, 뒤에서부터 세면 -1부터 시작

-끝에 적힌 숫자보다 1작게 추출 [0:3]이면 0,1,2까지만 추출

출력값을 보면 입력값의 앞의 3글자와 뒤의 3글자를 합친 것을 알 수 있음.

 

H e l l o w   W o r l d
String
[0]
String
[1]
String
[2]
String
[3]
String
[4]
String
[5]
String
[6]
String
[7]
String
[8]
String
[9]
String
[10]
String
[11]
String
[-11]
String
[-10]
String
[-9]
String
[-8]
String
[4]
String
[-7]
String
[-6]
String
[-5]
String
[-4]
String
[-3]
String
[-2]
String
[-1]

 

2. 2020년 9월 26일, 68번 문제

a = [0, 10, 20, 30, 40, 50, 60, 70, 80, 90]
a[:7:2]
0 10 20 30 40 50 60 70 80 90
a[0] a[1] a[2] a[3] a[4] a[5] a[6] a[7] a[8] a[9]

답 : [0, 20, 40, 60]

a[:7:2]는 a의 0번째부터 6번째까지 2간격으로 추출

a[i:j:k] : i부터 j번째 전까지(i이상 j미만) k간격으로 추출 -> 슬라이싱

a[i] : a객체의 i번째 값 추출 -> 인덱싱

 

3. 2021년 3월 7일, 79번 문제

while(True) :
    print('A')
    print('B')
    print('C')
    continue
    print('D')

답 : A, B, C 출력이 반복된다.

파이썬의 while문에서, True의 T는 반드시 대문자여야함.

while문은 참인 동안 계속 반복, continue 아래의 문장은 실행되지않고 바로 while문으로 돌아간다.

 

4. 2021년 5월 15일, 64번 문제

class FourCal:
    def setdata(sel, fir, sec):
        sel.fir = fir
        sel.sec = sec
    def add(sel):
        result = sel.fir + sel.sec
        return result
a = FourCal()
a.setdata(4, 2)
print(a.add())

답 : 6

def(함수) 2개(setdata, add) 생성

a = FourCal() : a이라는 인스턴스는 FourCal이라는 클래스 생성

a.setdata(4,2) setdata함수에 4,2를 대입

sel은 자기 자신을 참조

def setdate(sel, 4, 2)

sel.fir = fir = 4

sel.sec = sec = 2

a.add() a인스턴스의 add를 호출

result = sel.fir + sel.sec = 4 + 2 = 6

return result 나를 호출한 값으로 돌려줘라 a.add()에 result값을 돌려준다.

 

5. 2021년 8월 14일, 63번 문제

def cs(n):
    s = 0
    for num in range(n+1):
        s += num
    return s

print(cs(11))

답 : 66

for문 정해진 만큼 반복

n=11을 대입 for num in range(12)는 0~11까지 반복

0+1+2+3+4+5+6+7+8+9+10+11=66

728x90
반응형